이 글은 '겨울산행 효과적인 등산장갑 선택과 레이어링 (동계)' 에서 추려낸 것으로, 일부 아닌 전체를 보려면 링크를 참고하세요.
통기성과 부드러움 증가 <- ----- ( - ) ----- 쉘(Shell:보호) 직물 두께(Denier) ----- ( + ) ----- -> 딱딱함과 내구성 증가
(껴입기를 의미하는) 레이어링에서 보호(Shell)는 온도 차를 제외한 외부로부터 갑작스런 변화에 대응하는 층으로 방풍, 방수, 발수 기능(요소)을 의미한다. 이 3가지 요소 중 어느 게 쓰일 지, 어느 수준(등급)까지 필요할지는 활동 범위에 따른다. 이 활동 범위에는 도심 아닌 야외에서 스스로 체온을 지켜야 하는 의미가 들어가, 기후(계절) 외 '고도/온도 차/낮과 밤' 요소가 더해진다. 그 결과 현재 보호(쉘) 상품 카테고리는 '레인/하드/소프트/윈드/하이브리드' 쉘로 구분한다. 성능은 (온도 차를 제외한 외부로부터) 체감 온도에 영향을 주는 피부 냉각(열 손실)을 어떻게/어느 정도 막아주느냐로 결정된다.
ㄴ 윈드 쉘 - (하이브리드) - 소프트 쉘 - (하이브리드) - 하드 쉘 - 레인 쉘
레인 쉘 : (윈드 쉘이 건조한 상황을 고려해 설계됐다면, 레인 쉘은)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 신체를 건조하게 할 목적으로 설계돼, 같은 목적의 하드쉘과 비교 시 방수 능력에서 대등하나 통기성(투습성)과 내구성이 낮다. 즉, 활동성이 떨어진다. 주로 통기성 요구가 낮은 상황이거나, (하이킹/트레킹 활동 범위에서) 고가의 하드 쉘을 대체할 목적으로 선호. (활동 범위 관련) 기술적 등반 비중이 낮아 (도심에 어울리는 핏(Fit)과 함께) 색상이 다채로운 편이다. 하이킹/트레킹/고산
하드 쉘 : 신체 열 손실 비중 관련 온도 차와 쌍을 이루는 (비와) 바람이 압력으로 느껴지는 환경(악천후 및 공기를 매개로 한 즉, 공기의 전도성/대류성 및 수증기의 전도성으로 인한 열 손실 비중)에서 활동을 고려해 설계된 외부(바깥) 레이어로 방풍/방수 및 내구성이 가장 좋다. 방풍/방수 수치는 활동 범위에 따라 다르게 요구된다. 또 의류 정보상으로는 상반되는 요소인 통기성(투습성)과 (방수 사이) 균형이 양호하다고 홍보하나, (기능이 한쪽으로 치우친 만큼) 실제로는 느리거나 정적인 상황에서 쓰이는 비중이 높다. (또 몸을 움직이는 데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고도까지 상승하면 비중이 클 거 같지만, 건조한 환경과 낮은 기온으로 보온 비중이 더 커 필요할 때만 입고/벗는 성격이 강하다. 이 경우 무게를 확 줄이기도 한다.) 기술 등반 및 고산 원정
소프트 쉘 : 한쪽으로 치우친 (쉘 층 혹은) 하드 쉘의 과도한 점을 빼거나 부족한 점을 채울 목적으로 설계돼, 방풍/방수 기능은 레인/하드 쉘에 비해 낮지만 (체감되는) 통기성과 (편안한) 신축성으로 활동성이 좋다. (내구성 발수(DWR)를 기반으로 방수(성)와 원단의 촘촘함과 두께에 비례하는 방풍성과 보온성을 가진) 스트레치 우븐 소재의 경우 (외부 층으로 분류되지만) 미드-레이어 위치(층)에서 활용되기도 한다. 두께(무게)에 따라 온화한 기후의 고산부터 비가 눈으로 내리는 겨울철 (당일) 산행에서 다양하게 쓰인다.
하이브리드 : 쉘과 쉘 사이 아쉬운 부분(내구성/신축성/보온/방풍/방수 등)을 메꿀 목적으로 설계됐다. 먼저 좀 더 다양한 범위에서 쓰일 목적으로 (한쪽으로 쏠린) 기능을 모호(두루뭉술)하게 하거나, 되레 좀 더 특정 활동 범위에서 쓸 목적으로 (한쪽으로 쏠린) 기능을 더욱 강조하는 식이다. 강조의 경우 '보온' 같은 다른 층(Layer) 요소와 결합하기도 한다. 기존 쉘 상품 카테고리 입지가 견고한 만큼, 일부 계절(기후)이나 특정 활동 범위에서 쓰임새가 있다.
윈드 쉘(바람막이) : (레인 쉘이 습도가 높은 상황을 고려해 설계됐다면, 윈드 쉘은) 기후가 온화하고 건조한 상황에서 체온 유지 방해 요소인 바람에 저항할 목적으로 설계됐다. 또 (활동 범위 변경으로 운동 강도[MET]가 떨어졌을 때나,) 기온이 내려가 통기성 보온 의류 보온성이 부족할 때, 겉에 착용하면 빠져나가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하게 돼 (통기성 보온 의류) 보온성을 보완한다. 방풍 외 전반적인 보호 능력은 부족하나 무게가 이를 상쇄한다. 전문 브랜드의 경우 출시 연도에 따라 통기성이 다를 수 있다. 기초 보호 의류로 단순한 만큼 가장 가볍다.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보호 의류 (쉘&오버 레이어)
https://outdoorgearup.tistory.com/27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보호 의류 (쉘&오버 레이어)
이 글은 '겨울산행 효과적인 등산장갑 선택과 레이어링 (동계)' 에서 보호 의류만 추려낸 것으로, 일부 아닌 전체를 보려면 링크를 참고하세요. 인체(몸통) '땀(수분)과 체열' --> [A.수분 건조 의
outdoorgearup.tistory.com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소프트 쉘
https://outdoorgearup.tistory.com/46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소프트 쉘
이 글은 '겨울산행 효과적인 등산장갑 선택과 레이어링 (동계)' 에서 추려낸 것으로, 일부 아닌 전체를 보려면 링크를 참고하세요. 레이어링에서 보호 카테고리는 방수를 중심으로 활동 범위에
outdoorgearup.tistory.com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바람막이
https://outdoorgearup.tistory.com/47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바람막이
이 글은 '겨울산행 효과적인 등산장갑 선택과 레이어링 (동계)' 에서 추려낸 것으로, 일부 아닌 전체를 보려면 링크를 참고하세요. 보호 의류 중 필구템 성격의 바람막이(WindShell,Windbreaker)를 살펴
outdoorgearup.tistory.com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용어 몇 가지
https://outdoorgearup.tistory.com/29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용어 몇 가지
이 글은 '겨울산행 효과적인 등산장갑 선택과 레이어링 (동계)' 에서 추려낸 것으로, 일부 아닌 전체를 보려면 링크를 참고하세요. 원단(Fabric) : 검색해 보면 의류 원단은 '따뜻한(Warm) / 건조(Dry) /
outdoorgearup.tistory.com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겹쳐 입는 방법
https://outdoorgearup.tistory.com/28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겹쳐 입는 방법
이 글은 '겨울산행 효과적인 등산장갑 선택과 레이어링 (동계)' 에서 추려낸 것으로, 일부 아닌 전체를 보려면 링크를 참고하세요. 의류 레이어링 시스템(Layering System , 겹쳐 입기/껴입기) 열원인
outdoorgearup.tistory.com
'Layering System (껴입기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휴식/일출 (0) | 2022.02.19 |
---|---|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오르막/능선/내리막 (0) | 2022.02.19 |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산곡풍(일출 시 바람이 몰려오는 이유) (0) | 2022.02.13 |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바람(풍랭지수) (0) | 2022.02.13 |
등산 의류 레이어링 - 겹쳐 입는 방법 (0) | 2022.02.13 |